분류 전체보기 184

[토양환경기사] 4. 토양 및 지하수 환경관계법규(기출2)

61. 토양환경보전법령상 위해성평가를 하려는 자가 작성해야하는 위해성평가 계획서에 포함되어야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독성평가 자료 ② 현장 조사 방법 ❸ 오염지역 및 범위 ④ 오염물질의 노출경로​62. 토양환경보전법령상 환경부장관은 토양보전을 위해 몇 년을 주기로 토양보전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가? ① 1년 ② 3년 ③ 5년 ❹ 10년​63. 토양환경보전법령상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 시설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송유관시설 ② 석유류의 제조 및 저장시설 ③ 유해화학물질의 제조 및 저장시설 ❹ 토양오염물질의 제조 및 저장시설​64. 토양환경보전법령상 토양오염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시안화합물 ② 유기인화합물 ③ 다이옥신 ❹ 동ㆍ식물성 유류​65. 토양환경보전법령상 속임수..

[토양환경기사] 4. 토양 및 지하수 환경관계법규(기출1)

61. 토양환경보전법규상 환경부장관이 고시하는 측정망설치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측정망 배치도 ② 측정망 설치시기 ❸ 측정항목 및 기준 ④ 측정지점의 위치 및 면적​62. 토양환경보전법령상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 토양을 현저하게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② 토양오염 : 사업활동이나 그 밖의 사람의 활동에 의해 토양이 오염되는 것으로서 사람의 건강·재산이나 환경에 피해를 주는 상태를 말한다. ❸ 토양정화 : 생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토양 중의 오염물질을 감소·제거하거나 토양 중의 오염물질에 의한 위해를 완화하는 것을 말한다. ④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 토양오염물질의 생산·운반·저장·취급·가공..

[토양환경기사] 3.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기출7)

41. 토양의 열처리 기술 중 열스크루 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열스크루 장치는 장치 용적에 비해 열전달 표면적이 비교적 넓다. ② 열스크루 공정의 열전달 유체는 직접연소 또는 전기적 장치에 의해서 가령된다. ③ 열스크루 공정은 고형물의 온도가 최대 허용 가능한 열전달 유체의 온도에 의해 제한된다. ❹ 열스크루 장치는 같은 용량의 장치에 비해 장치가 크고 열전달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42. 오염토양정화 기술 중 저온열탈착공법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오염토양 내 TPH 농도가 높을수록 열량이 높아 적용성이 좋다. ② 토양 내 함수율이 높으면 에너지소모량이 많아져 전처리가 요구된다. ③ 오염토가 지하 8m 이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토공비용의 상승으로 경제성이 낮아진다. ④ 토..

[토양환경기사] 3.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기출6)

41. 토양증기추출과 bioventing 기술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공정설계에 앞서 거치는 예비절차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정해진 시간 내에 복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공극부피 교환량 계산 ② 오염물 이동제어변수를 고려한 가능 제어속도 계산 ③ 오염 이동속도 한계에 따른 기술 타당성 검토 ❹ 공기 추출한계 선정​42. 오염지하수 정화에 반응벽체 공법을 적용할 때 반응벽체의 두께는 2.5m. 공극률은 0.42, 지하수의 Darcy 속도는 0.4m/hr일 경우 지하수의 반응역체 내 체류시간(hr)은? ❶ 2.6 ② 3.8 ③ 4.4 ④ 5.2​43. 토양세척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최종처리공정으로 이용되기보다 오염토양의 양을 단기간에 현저히 줄이고자 할 때 이용된다. ❷ 토양..

[토양환경기사] 3.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기출5)

41. 미생물은 크게 탄소원과 에너지원에 따라 분류되는데 탄소원이 유기탄소이며 에너지원으로 유기물의 산화환원반응을 이용하는 미생물은? ❶ 화학합성 종속영양 미생물 ② 화학합성 자가영양 미생물 ③ 광합성 종속영양 미생물 ④ 광합성 자가영양 미생물​42. 고형화/안정화된 폐기물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용출능평가실험 방법으로 인조산성 강우액을 이용하여 물체로부터 연속적으로 오염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① TCLP(toxicity cha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 시험법 ❷ MEP(multiple extraction procedure) 시험법 ③ EP-TOX(extraction procedure toxicity) 시험법 ④ MWEP(monofill waste extraction pr..

[토양환경기사] 3.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기출4)

41. 식물정화법 중 오염물질이 뿌리 주변에 비활성의 상태로 축척되거나 식물체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되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은? ① 근권여과 ② 식물분해 ③ 식물추출 ❹ 식물안정화​42. 폐기물의 고형화 안전화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폐기물의 용해성이 감소한다. ② 폐기물의 부피감소가 가능하여 취급이 용이해진다. ❸ 폐기물의 비표면적증가로 매립지반의 안정성이 증가한다. ④ 폐기물내의 오염물질이 특성형태에서 비독성형태로 변형된다.​43. 토양의 사막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가축의 과방목 ❷ 염류직접 토양의 비율감소 ③ 식량생산을 위한 관개농업의 확대 ④ 토지확보를 위한 지나친 산림벌목​44. 생물학적 통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오염물질을 매우 낮은 농도까지 처리..

[토양환경기사] 3.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기출3)

41. 일반적으로 유기화학물질의 생분해능은 화합물의 분자구조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다음 중 생분해기능이 가장 높은 화합물은? ① 할로겐화된 화합물 ② 가지구조가 많은 화합물 ❸ 원자의 전하차가 작은 화합물 ④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화합물​42. 생물학적 복원기법에서는 호기성 조건을 형성하기 위하여 산소를 주입하여야 한다. 적정한 산소주입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압축산소 주입 ② 대기 중의 공기 주입 ❸ 과산화질소(N2O2) 주입 ④ 과산화수소(H2O2) 주입​43. 바이오스파징(Biosparging)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지하수의 부가적인 처리가 필요 없다. ❷ 오염물질이 확산될 가능성이 낮다. ③ 지상의 영업이나 활동에 방해받지 않고 정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④ ..

[토양환경기사] 3.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기출2)

41. 화학적 산화/환원법을 적용하여 오염토양을 처리할 때, 널리 사용되는 화학적 산화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❶ 염화나트륨 ② 이산화염소 ③ 과망간산염 ④ 과산화수소수​42. 다음 중 원위치(in-situ) 오염토양 처리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토양증기추출법(Soil vapor extraction) ② 공기분사법(Air sparging) ③ 동전기정화법(Electrokinetic) ❹ 열탁착법(Thermal desorption)​43. Bioventing법을 적용하기 위해 산소소모율을 구하고자 한다. 주입공기의 유량이 1440m3/d, 초기 산소농도가 20.9%, 배기가스의 산소농도가 3%, 토양의 부피가 2500m3, 공극률이 15%일 때, 산소소모율(%O2/d)은? ① 34.5 ② 46.4..

[토양환경기사] 3.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기출1)

41. 투수성 반응벽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오염물질을 주변의 흐름에 의존하여 처리지대로 이동시킨다. ② 대수층의 투수성이 낮고 오염 심도가 낮은 경우에 주로 채택하는 기술이다. ❸ 오염지역 밖으로 지하수의 이동을 막는 기술이다. ④ 용존성의 오염물질은 반응물질이 충진된 벽체를 통과하면서 처리된다.​42. 열탈착기술의 적용이 적합하지 않은 오염물질은? ① 중유 ❷ 크롬 ③ 윤활유 ④ VOC​43. 오염토양의 생물학적 처리에 필요한 환경조절 인자 중 전자수용체가 아닌 것은? ① 용존산소 ② Fe(Ⅲ) ③ NO3- ❹ Cl-​44. 오염물질과 그에 적합한 처리기술과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페놀 - 동전기법 ② 벤젠 - 토양증기추출법 ❸ PCBs - 토양증기추출법 ④ 방사선물질 – 고형화..

[토양환경기사] 2. 토양 및 지하수오염조사기술 (기출7)

21. 토양 내 수분 함량 측정을 위한 시료 관리에 관한 내용으로 ( )에 옳은 것은? ① 2일 ② 3일 ③ 5일 ❹ 7일​22. 황산용액(1→1000)로 표시된 수용액의 농도(ppm, W/V)는? (단, 순수한 황산의 비중 = 1.84) ① 1.84 ② 18.4 ③ 184 ❹ 1840​23. 원자흡수분광광도법 적용 시 사용되는 다음의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명선(Resonance line) : 원자가 외부로부터 빛을 흡수했다가 다시 먼저 상태로 돌아갈 때 방사하는 스펙트럼선 ❷ 다원료 불꽃(Fuel-rich Flame) : 조연성 가스/가연성 가스의 비를 크게 한 불꽃 ③ 중곡음극 램프(Hollow Cathode Lamp) : 원자흡수분광광도법의 광원이 되는 것으로 목적원소를 함유하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