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토양증기추출과 bioventing 기술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공정설계에 앞서 거치는 예비절차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정해진 시간 내에 복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공극부피 교환량 계산
② 오염물 이동제어변수를 고려한 가능 제어속도 계산
③ 오염 이동속도 한계에 따른 기술 타당성 검토
❹ 공기 추출한계 선정
42. 오염지하수 정화에 반응벽체 공법을 적용할 때 반응벽체의 두께는 2.5m. 공극률은 0.42, 지하수의 Darcy 속도는 0.4m/hr일 경우 지하수의 반응역체 내 체류시간(hr)은?
❶ 2.6 ② 3.8
③ 4.4 ④ 5.2
43. 토양세척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최종처리공정으로 이용되기보다 오염토양의 양을 단기간에 현저히 줄이고자 할 때 이용된다.
❷ 토양세척공정의 효과는 토양의 성상에 따른 영향보다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른 차이가 매우 크다.
③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경우 단순한 물세척으로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낸다.
④ 일반적인 세척공정에서 배출되는 토양 중 대부분의 부피를 차지하는 것은 모래 및 자갈류이다.
44. 유기오염물로 오염된 토양을 호기성 분해 과정을 이용한 바이오파일법으로 처리하는 경우, 분해에 관여하는 다음 미생물 중에서 중온성이 아닌 고온성 미생물에 속하는 것은?
❶ B. coagulans ② Cellulomonas folia
③ P. putida ④ Pseudomonas fluorescence
45. TCE로 오염된 지하수의 예비실험을 한 결과 1.4mg/L·min의 오존으로 1시간 처리 시 환경기준에 적합한 제거율을 보였다. 지하수 오염농도가 150mg/L, 유량이 2,000L/min일 경우 환경기준에 적합하도록 처리하기 위한 최소 오존 필요량(kg/day)은?
❶ 약 242 ② 약 318
③ 약 423 ④ 약 538
46. 지하수 처리기술 중 Air Spargin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오염물질이 분포된 깊이와 현장의 특수한 지질학적인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❷ 오염된 지하수를 양수하여 대기 중에서 공기를 분사하므로 다량의 지하수정화가 가능하다.
③ 지하수 유량, 오염물질의 분포 깊이 등의 인자에 영향을 받는다.
④ 휘발성 유기물질과 유류오염물질이 처리대상이다.
47. 오염물질의 생분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직선구조의 탄화수소는 호기성조건에서 생분해되기 쉽다.
② 치환되지 않은 탄화수소 종류가 일반적으로 빠르게 분해된다.
❸ 할로겐화합물의 할로겐 원소 수가 커질수록 생분해 지속도는 감소한다.
④ 용해도가 낮은 물질은 생분해도가 낮을 수 있다.
48. 토양증기추출법의 적용이 어려운 오염물질은?
① 벤젠 ② 톨루엔
③ 휘발유 ❹ 윤활유
49. 열탈착기술의 기본적인 제어장치가 아닌 것은?
① 분진 제거를 위한 사이클론과 백필터
② 잔존 유기물 제거를 위한 활성탄
③ 산성증기 제거를 위한 벤투리 세정기
❹ 탈수를 위한 필터프레스
50. 고온 열탁착법에서 오염토양에 적용되는 가장 적절한 열탁착온도 범위는?
① 100~300℃ ❷ 400~600℃
③ 800~1,000℃ ④ 1,200~1,500℃
51. 토양경작버(land farming)의 적용성에 대해 잘못 기술한 것은?
① 총 종속영양미생물의 온도가 1,000CFU/g 건조토양 이상일 경우 적합하다.
② 토양의 pH는 6~8정도의 중성일 때 적합하다.
③ 토양의 온도는 10~45℃ 정도를 유지해야 한다.
❹ 미생물의 적절한 성장을 위해 수분의 함량을 5~15% 정도로 유지해야 한다.
52. 토양복원기술 중 원위치(in-situ) 정화기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토양증기추출법(Soil Vapor Extraction)
② 생분해법(Biodegradation)
③ 유리화(Vitrification)
❹ 토지경작법(Landfarming)
53. 자일렌 100mg/L의 농도로 오염된 지하수 3,000m3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활성탄의 양(kg)은? (단, 자일렌에 대한 활성탄의 흡착능=0.0789g-Xylenes/g-carbon)
① 7,600 ② 1,400
③ 2,300 ❹ 3,800
54. Bioventing 공법의 영향인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일반적으로 사질토일 경우에 적절히 적용된다.
② 오염물 제거 깊이는 3~10m 범위이다.
③ 일반적으로 최적 pH 범위는 약 6~8정도이다.
❹ 균일한 처리가 가능하고 오염물질 확산의 우려가 없다.
55. 생물학적 복원 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저농도 및 광범위한 오염에 적합하다.
② 유해한 중간물질을 만드는 경우가 있어 분해생성물의 유무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❸ 다양한 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기술개발이 필요 없다.
④ 약품을 많이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2차 오염이 적다.
56. 자연정화기법에 의하여 오염 부지를 처리하는 경우에 작용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① 오염물질의 자체적인 분산, 희석, 흡착, 휘발 현상
② 지하수 함량에 의한 희석과 혼합현상
③ 토양 내 생분해로 인한 생물학적 분해 및 전이현상
❹ 계면활성제의 주입에 의한 오염물질 탈착현상
57. 토양에 함유된 화학성분 중에서 주요 산화물의 함량순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❶ SiO2 > Al2O3 > FeO + Fe2O3 > CaO + MgO
② SiO2 > Al2O3 > CaO + MgO > FeO + Fe2O3
③ Al2O3 > SiO2 > CaO + MgO > FeO + Fe2O3
④ Al2O3 > FeO + Fe2O3 > SiO2 > CaO + MgO
58. 저온 열탈착법의 장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처리효율이 높고 단기간에 처리가 가능하다.
❷ 카드뮴이나 수은 등을 비롯한 거의 모든 중금속 정화에 효과가 탁월하다.
③ 다른 정화기술에 비해 높은 에너지 비용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낮다.
④ 수분함량이 높거나 점토 및 휴믹산 등을 높게 함유한 토양의 경우 반응시간이 길어지고 처리비용이 증가한다.
59. 미생물에 의한 호흡과정에서 같은 양이 사용되는 경우 전자수용체로서 가장 효율이 높은 물질은?
❶ 과산화수소 ② 공기로 포화된 물
③ 산소로 포화된 물 ④ 질산염이 다량 함유된 물
60. 미생물의 종류별 탄소원과 에너지원의 연결로 틀린 것은? (단, 탄소원-에너지원)
❶ 화학합성 자가영양 : CO2-유기물의 산화환원반응
② 화학합성 종속영양 : 유기탄소 – 유기물의 산화환원반응
③ 광합성 종속영양 : 유기탄소-빛
④ 광학성 자가영양 : CO2-빛
'자격증 공부방 > 토양환경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양환경기사] 4. 토양 및 지하수 환경관계법규(기출1) (0) | 2025.07.16 |
---|---|
[토양환경기사] 3.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기출7) (0) | 2025.07.16 |
[토양환경기사] 3.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기출5) (0) | 2025.07.15 |
[토양환경기사] 3.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기출4) (0) | 2025.07.15 |
[토양환경기사] 3.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기출3) (0) | 2025.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