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공부방/토양환경기사

[토양환경기사] 2. 토양 및 지하수오염조사기술 (기출7)

고퓨GO2theFUTURE 2025. 7. 13. 14:28

21. 토양 내 수분 함량 측정을 위한 시료 관리에 관한 내용으로 ( )에 옳은 것은?

 

① 2일 ② 3일

③ 5일 7일

22. 황산용액(1→1000)로 표시된 수용액의 농도(ppm, W/V)는? (단, 순수한 황산의 비중 = 1.84)

① 1.84 ② 18.4

③ 184 1840

23. 원자흡수분광광도법 적용 시 사용되는 다음의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명선(Resonance line) : 원자가 외부로부터 빛을 흡수했다가 다시 먼저 상태로 돌아갈 때 방사하는 스펙트럼선

다원료 불꽃(Fuel-rich Flame) : 조연성 가스/가연성 가스의 비를 크게 한 불꽃

③ 중곡음극 램프(Hollow Cathode Lamp) : 원자흡수분광광도법의 광원이 되는 것으로 목적원소를 함유하는 중곡음극 한 개 또는 그 이상을 저압의 네온과 함께 채운 방전관

④ 분무기(Nebulizer or Atomizer) : 시료를 미세한 입자로 만들어 주기 위하여 분무하는 장치

24.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압을 작용시켜 일정시간 유지하고, 압력유지시간동안 누출검사대상 시설의 압력변화를 측정함으로서 일정체적을 가진 누출검사대상시설 및 기상부에 접속된 부속배관의 누출여부를 판단하는 시험법은?

① 가압시험법 ② 미가압시험법

미감압시험법 ④ 감압시험법

25. 시료에 염화제일주석을 넣어 금속수은으로 환원시킨 다음 이 용액에 통기하여 발생되는 수은증기를 이용하여 수은을 정량하는 방법은?

① 유리전극법

냉증기 원자흡수분광광도법

③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④ 유도결합플라스마-원자발광분광법

26. 초음파 추출법을 사용하여 시료 추출을 수행하는 화합물은?

① BTEX TPH

③ 페놀 ④ TCE

27. 실험의 일반적 내용으로 틀린 것은?

① ‘약’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 ±10% 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된다.

② 시험에 사용하는 물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정제수 또는 탈염수를 말한다.

용액의 농도를 % 로만 표시할 때는 W/W% 또는 V/V%를 뜻한다.

④ 정량한계는 지정된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경우 그 시험방법에 대한 최소 정량한계를 의미하며, 그 미만은 불검출된 것으로 간주한다.

28. 임의의 시료에 대해 수분(%)측정 실험의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시료의 수분(%)은?

① 40 30

③ 20 ④ 15

29. 비소표준원액 제조 시 사용하는 비소화합물은?

삼산화비소 ② 오산화비소

③ 아비산나트륨 ④ 비소이온

30.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지역에서의 시료채취지점선정에 관한 내용으로 ( )에 옳은 것은? (단, 부지 내, 지상저장시설 기준)

① 1.2배 1.5배

③ 2.0배 ④ 2.5배

31. 토양시료의 분석에 필요한 2N 황산용액을 조제하고자 할 때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 )에 알맞은 것은? (단, 95% 황산, 황산의 비중 = 1.84g/mL)

60 ② 120

③ 180 ④ 240

32. 저장물질이 있는 누출검사대상시설(액상부의 시험법)의 누출판전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 )에 옳은 것은?

 

① ㉠ 누출량, ㉡ 관계없이 일괄

② ㉠ 누출량, ㉡ 따라 차등

③ ㉠ 누출속도, ㉡ 관계없이 일괄

㉠ 누출속도, ㉡ 따라 차등

33. 토양 중의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PCB)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할 때 가장 적당한 검출기는?

① 열전도도 검출기(TCD)

② 불꽃이온화 검출기(FID)

전자포착형 검출기(ECD)

④ 불꽃광도형 검출기(FPD)

34. 원자흡수분광광도계 장치의 구성이 옳은 것은?

① 광원부-파장선택부-시료부-측광부

광원부-시료원자화부-파장선택부-측광부

③ 시료부-광원부-파장선택부-측광부

④ 시료원자화부-광원부-단색화부-측광부

35. 시안-자외선/가시선 분광법 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토양 중 시안의 정량한계는 0.2mg/kg이다.

② 시안화합물을 측정할 때 방해물질들은 증류하면 대부분 제거된다.

③ 황화합물이 함유된 시료는 아세트산 아연용액(10%) 2mL를 넣어 제거한다.

다량의 지방성분을 함유한 시료는 pH4이하로 조절한 후 노말헥산으로 추출하여 제거한다.

36. 일반지역에서 시료채취지점 선정방법이 잘못된 경우는?

① 농경지의 토양시료 중에 카드뮴을 측정하기 위해 시료를 채취할 경우 대상지역 내에서 지그재그형으로 5~10개 지점을 선정한다.

② 공장지역의 토양시료 중에 카드뮴을 측정하기 위해 시료를 채취할 경우 대상지역의 중심이 되는 1개 지점과 주변 4방위의 5~10m거리에 있는 1개 지점씩 총 5개 지점을 선정한다.

③ 농경지의 토양시료 중에 석유계총탄화수소를 측정할 경우 대상지역 내에서 대표치를 구할 수 있는 1개 지점을 선정한다.

공장지역의 토양시료 중에 BTEX를 측정할 경우 대상지역의 중심이 되는 1개 지점과 주변 4방위의 5~10m 거리에 있는 1개 지점씩 총 5개 지점을 선정한다.

37.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측정을 위해 기체크로마토그래프의 검출기로 적절한 것은?

① 광이온화검출기(Photo Ionization Detector : PID)

불꽃이온화검출기(Flame Ionization Detector : FID)

③ 열전도도 검출기(Thermal Conductivity Detector : TCD)

④ 전자포획형 검출기(Electron Capture Detector : ECD)

38. 액체성분 20mL을 300mL의 용매에 녹였을 때 액체의 농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300) ② (20→320)

③ (0.02→0.3) ④ (0.02→0.32)

39. 누출검사대상시설에 담겨 있는 액상부의 탱크용량에 따른 누출량의 합격 판정치로 옳은 것은?

① 10만리터 초과 100만리터 이하의 경우 누출율 1.0L/hr 이하

100만리터 초과 160만리터 이하의 경우 누출율 1.2L/hr 이하

③ 160만리터 초과 320만리터 이하의 경우 누출율 1.6L/hr 초과

④ 320만리터 초과 480만리터 이하의 경우 누출율 2.4L/hr 초과

40. 토양오염 위해성 평가 수행 절차 중 가장 먼저 수행하여야 하는 단계는?

① 위해도 결정 노출 농도 결정

③ 조치 계획 작성 ④ 정화목표치 설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