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 화학설비 위험방지 기술] -1
1. 폭발의 성립조건 3가지
1)인화성 가스 및 증기 또는 분진이 공기와 혼합되어 폭발범위 내에 있을 것 2)밀폐된 공간이 존재할 것. 3)점화원이 있을 것. |
2. 연소의 3요소와 소화방법
1)연소의 3요소 : 가연성 물질, 산소공급원, 점화원 2)소화방법 : 제거소화, 질식소화, 냉각소화 |
3. 통풍이나 환기가 충분하지 않고 가연물이 있는 건축물 내부나 설비 내부에서 화재위험작업을 하는 경우 화재예방을 위해 준수해야 할 사항 3가지
1)작업준비 및 작업절차 수립 2)작업장내 위험물의 사용, 보관 현황 파악 3)화기작업에 따른 인근 가연성 물질에 대한 방호조치 및 소화기구 비치 |
4. 감전의 위험을 결정하는 요소
1)통전 전류의 크기 2)통전 경로 3)통전 시간 4)전원의 종류 |
5. 전기용접 작업을 하던 작업자가 300V의 회로를 물에 젖은 손으로 접촉하여 사망하였다. 이 때 인체에 흐른 전류(mA)와 통전시간(ms)을 계산하시오.(단, 인체 저항은 1,000Ω)
1) V = I × R (V=전압, I=전류(A), R=저항(Ω) I = V/R = 300 ÷ (1,000×1/25) = 7.5(A) × 1,000 = 7,500(mA) 2) 심실세동전류 : I(mA) = 165/√T , I = 통전전류(mA), T = 통전시간(s) √T = 165/I = 165/7,500 T=(165/7,500)2 = 0.000484 × 1,000 = 0.48(ms) |
6. 충전전로의 선간 전압(활선작업)시 접근 한계거리
▷ 0.3kv 이하 : 접촉금지, 0.3kv초과~0.75kv이하 : 30cm, 0.75~2 : 45cm, 2~15 : 60cm, 15~37 : 90cm, 37~88 : 110cm, 88~121 : 130cm 121~145 : 150cm, 145~169 : 170cm, 169~242 : 230cm, 242~362 : 380cm, 362~550 : 550cm, 550~800 : 790cm |
7.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 전류와 동작시간?
1)정격감도 전류 : 30mA이하 2)동작시간 : 0.03초 이내 |
8. 누전에 의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설비 중 접지를 해야 하는 금속체 부분을 3가지 쓰시오.
1)전동식 양중기의 프레임과 궤도 2)전선이 붙어있는 비전동식 양중기의 프레임 3)고압 이상의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기계, 기구 주변의 금속제 칸막이망 및 이와 유사한 장치 |
9. 코드 및 플러그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계, 기구 중 누전에 의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지를 하여야 하는 전기기계, 기구 5가지를 적으시오.
1)사용전압이 대지전압 150v를 넘는 것 2)냉장고, 세탁기, 컴퓨터 및 주변기기 등과 같은 고정형 전기기계 ․ 기구 3)고정형 ․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동기계, 기구 4)물 또는 도전성이 높은 곳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 ․ 기구, 비접지형 콘센트 5)휴대형 손전등 |
10. 변압기의 중성점 접지 저항 값에 관한 설명이다.
1)일반적으로 변압기의 고압, 특고압 측 전로 (1선 지락전류)로 (150)을 나눈 값과 같은 저항 값 이하 2)변압기의 고압, 특고압 측 전로 또는 사용전압이 35kV 이하의 특고압전로가 저압측 전로와 혼촉하고 저압전로의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경우는 저항 값은 다음에 의한다. - 1초 초과 2초 이내에 고압, 특고압 전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할 때는 (300)을 나눈 값 이하(300/1선 지락전류 Ω 이하) - 1초 이내에 고압, 특고압 전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할 때는 (600)을 나눈 값 이하(600/1선지락 전류 Ω 이하) |
11. 누전에 의한 감전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전로의 정격에 적합하고 감도가 양호하며 확실하게 작동하는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3가지
1)대지전압이 150볼트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 기구 2)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장소에서 사용하는 저압용 전기기계, 기구 3)철판, 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 기구 4)임시배선의 전로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 기구 |
12. 사업주가 전기 기계, 기구를 설치하려는 경우 고려할 사항 3가지
1)전기 기계, 기구의 충분한 전기적 용량 및 기계적 강도 2)습기, 분진 등 사용장소의 주위 환경 3)전기적, 기계적 방호수단의 적정성 |
13. 작업이나 통행 등으로 인해 전기기계, 기구 등 또는 전류 등의 충전 부분에 접촉하거나 접근함으로써 감전위험이 있는 충전 부분에 대하여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3가지
1)충전부가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폐쇄형 외함이 있는 구조로 할 것 2)충전부에 충분한 절연효과가 있는 방호망 또는 절연덮개를 설치할 것 3)충전부는 내구성이 있는 절연물로 완전히 덮어 감쌀 것 4)발전소, 변전소 및 개폐소 등 구획되어 있는 장소로서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의 자의 출입이 금지되는 장소에 충전부를 설치하고 위험표시 등이 방법으로 방호를 강화할 것. 5)전주 위 및 철탑 위 등 격리되어 있는 장소로서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이 접근할 우려가 없는 장소에 충전부를 설치할 것. |
14. 전로의 절연저항
1) SELV(비접지회로) 및 PELV(접지회로) : DC 시험전압(V) 250, 절연저항(MΩ) 0.5 2) FELV(1차와 2차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지 않은 회로), 500V 이하 : 500V, 1.0 MΩ 3) 500V 초과 : 1,000v, 1.0 MΩ |
15. 정전기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가지
1)물질의 특성 2)물질의 표면상태 3)물질의 분리속도 4)접촉면적 및 압력 5)물질의 이력 |
16. 사업주는 정전기 방지를 위하여 화재 또는 폭발 등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확실한 방법으로 (접지)를 하거나 (도전성)재료를 사용하거나 가습 및 점화원이 될 우려가 없는 (제전)장치를 사용하는 등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17. 정전기 재해예방 대책 3가지
1)접지(도체일 경우) 2)습기부여(공기 중 습도를 60~70% 이상 유지) 3)도전성 재료 사용 4)대전방지제 사용 5)제전기 사용 |
18. 인체에 대전된 정전기 위험 방지조치
1)정전기용 안전화의 착용 2)제전복의 착용 3)정전기 제전용구의 사용 4)작업장 바닥 등에 도전성을 갖출 것 |
19. 정전기로 인한 폭발과 화재의 방지를 위한 설비에 대한 조치 4가지
1)해당 설비에 확실한 방법으로 접지 2)도전성 재료를 사용 3)가습 4)점화원이 될 우려가 없는 제전장치를 사용. |
20. 인체에 해로운 분진, 흄, 미스트, 증기, 가스 상태의 물질을 배출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국소배기장치의 후드 설치시 준수사항 4가지
1)유해물질이 발생하는 곳마다 설치할 것 2)후드형식은 가능하면 포위식 또는 부스식 후드를 설치할 것 3)외부식 또는 리시버식 후드는 해당 분진 등의 발산원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할 것. 4)유해인자의 발생형태와 비중, 작업방법 등을 고려하여 해당 분진 등의 발산원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할 것. |

'자격증 공부방 > 산업안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 산업안전기사 실기 작업형 핵심요약 (0) | 2024.04.23 |
---|---|
21. 산업안전기사 실기 기출문제 및 요점정리 (1) | 2024.03.31 |
19. 산업안전기사 실기 기출문제 및 요점정리 (0) | 2024.03.31 |
18. 산업안전기사 실기 기출문제 및 요점정리 (1) | 2024.03.31 |
17. 산업안전기사 실기 기출문제 및 요점정리 (1) | 2024.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