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면 원주속도 : V=3.14*d*N/1000 (m/min) , d=롤러직경(mm), n=분당회전수(rpm)
- 물림점(협착) : 회전하는 두 개의 회전체에 물려 들어가는 위험점
- VDT 안전작업수칙
- 작업 중간에 충분한 휴식, 모니터에 보안경 부착 사용
- 단말기주변 조명 200 - 400 Lux 유지, 모니터 화면의 밝기는 주변밝기의 절반 정도
- 의자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것
- 프린터 소음이 낮은 것
- VDT 장애 :
- 반복작업으로 인한 어깨결림 손목통증
- 장시간 앉아 있음으로 인한 요통 위험
- 장시간 화면에 시선 집중으로 인한 시력부담 및 시력저하 초래
- 화학설비 자체검사항목 :
- 그 설비 내부에 화재 및 폭발 우려 물질의 존재 유무
- 설비 내 외면의 심한 손상 부식 변형 유무,
- 예비동력원 기능 이상 유무
- 뚜껑 후랜지 밸브 콕 등의 접합부 접합상태 이상 유무
- 안전밸브 긴급차단장치 등 방호장치 기능 이상 유무
- 냉각 가열 교반 압축 계측장치 및 제어장치 기능 이상 유무
- 특수화학설비 내부 이상상태 조기파악 장치:
- 자동경보장치, 긴급차단장치, 계측장치, 예비동력원
- 철골 작업중지 경우 :
- 풍속 초당 10m 이상, 강우 시간당 1mm이상, 강설 시간당 1cm이상
- 볼트의 축력 N = T/(K*D) T : 토오크, K: 토크계수, D : 볼트직경 축력 N 은 단위가 톤
- 지게차 작업중 위험 예지 포인트 :
- 전방시야 불충분으로 지게차에 의해 작업자 다칠수있다.
- 물건을 과적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가려 다른 작업자가 다칠수 있다.
- 물건을 불안정하게 적재하여 화물이 떨어져 다른 작업자가 다칠수 있다
- 전방시야 불충분으로 지게차에 의해 작업자 다칠수있다.
- 지게차 운전자 머리보호 장치 : 헤드 가드
- 전기 형강 작업중 위험 요인 :
- 작업중 흡연, 작업자가 딛고 선 발판이 불안, COS(Cut Out Switch)를 발판용 볼트에 임시로 걸쳐 놓음
- 전기 형강 작업중 안전 대책 :
- 작업지휘자에 의한 지휘, 개로 보증, 단락접지 상태관리, 근접활선에 대한 방호상태 관리
- 크롬 도금 작업시 주의사항 :
- 도금조에 국소배기장치를 근접하여 설치하고 작업시간 정상
- 가동여부 수시 확인, 각종 스위치 등 전기설비는 젖은 손 조작 금지,
- 도금액을 옮길 때는 규정된 배관 사용 고무호스 사용금지,
- 작업장 바닥은 불침투성재료로 하고 작업시 누출된 도금액 물로 세척 제거
- 도금조에 국소배기장치를 근접하여 설치하고 작업시간 정상
- 국소배기장치 설치조건 :
- 후드는 발산원 마다 설치하고 외부식 또는 레시버식은 당해 발산원에 최대한 근접 설치,
- 배출구는 옥외 설치
- 가능한 한 덕트의 길이가 짧고 굴곡부의 수를 적게 하여 청소 용이한 구조
- 배풍기는 집진 또는 배출가스 처리 후 공기가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
- 터널 굴착간 가연성가스 존재 작업전 점검사항:
- 자동경보장치 설치, 계기의 이상 유무, 검지부의 이상 유무, 경보장치의 작동상태
- 터널 발파 작업시 사용재료 : 다이너마이트
- 고온 작업 장소 보호 장구 : 방열장갑 및 방열복
- 크랭크프레스 철판 작업 방호장치 :
- 양수기동식, 게이트가드식, 손쳐내기식, 수인식
- 프레스 금형 설치 점검 사항 :
- 펀치와 다이의 평행도, 다이와 볼스터 평행도, 펀치와 볼스터면의 평행도,
- 다이홀더와 펀치의 직각도 생크홀과 펀치의 직각도
- 1만볼트 변압기 연결 내전압 검사 재해 위험 포인트 :
- 배전반 제조 작업시 작업자를 보지 못하고 앞에서 고전압이 인가된 누전시험기로 시험하다 뒤 작업자 감전사고
- 내전압 검사시 작업자가 착용하여야 할 보호구: 절연화, 안전장갑
- 가스용기 저장소로 부적절한 장소 :
- 통풍환기 불충분한곳, 화기를 사용하는장소 및 그부근, 위험물 화약류 또는 가연성물질을 취급하는 장소 그부근
- 이동식크레인 작업전 점검 :
- 권과방지장치 등 경보장치 기능,
- 브레이크 클러치 및 조정장치 기능,
-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 및 작업장소의 지반상태
- 이동식크레인 작업자 위험요인 :
- 신호수의 불안전한 행동, 화물의 이동경로 설정 불안정 화물의 낙하 비래 요인 내제
- 산소결핍 우려장소 : 송기마스크
- 지게차 작업전 점검사항:
- 하역장치 등 유압장치 이상 유무, 브레이크 등 조종장치 이상유무
- 타이어 이상유무, 전조등 후미등 방향지시등 및 경보장치 이상유무
- 하역장치 등 유압장치 이상 유무, 브레이크 등 조종장치 이상유무
- 전신주 형강 교체 완료후 조치사항 :
- 단락접지기구의 철거, 표지제거, 개폐기이용 송전재개
- 전신주 작업시 착용 보호구 2가지 :
- 절연모, 절연장갑, 절연화, 안전대
- 크롬 도금시 발생 직업병 : 비중격천공.
- 터널 내 발파 작업 화약 장전시 안전 작업 :
- 폭약을 장전할 때에는 마찰 충격 정전기 등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이 없는 안전한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 불발화약 확인시
- 전기 뇌관 발파의 경우 5분 이상,
- 전기 뇌관 이외 발파인 경우 15분 이상
- 터널 내 착암공 착용 보호구 :
- 방진마스크, 귀덮개, 안전모, 안전화
- 크랭크프레스 광전자식 방호구 광축 설치거리 : D = 1.6*Tm(mm)
- 프레스 페달 사고방지 조치: 일시 정지시 페달 U 덮개를 씌운다, 이물질제거는 수공구 사용
- 변압기 활선여부 확인방법 : 검전기로 확인, 접지봉으로 접촉확인, 테스터 지시치를 확인
- 제어실과 작업장이 막혔을 때는 대화 가능한 대화창을 설치하여 의사소통
- 프로판가스의 최소 산소농도 : MOC = LFL* (산소몰수/연료몰수) (vol%)
- 프로판가스 사고 :
- 사고형태 폭발, 기인물 프로판가스
- 양중용 와이어 로프 안전율 S: 5, 슬링와이어 매다는 각도 : 60도 이내
- 앙양시 물체 흔들림 신호방법 불일치 자재 낙하 위험 대책 :
- 보조 로프로 흔들림 방지
- 무전기 등 이용 신호방법 미리 정하여 둔다,
- 슬링와이어의 체결상태 확인
- 보조 로프로 흔들림 방지
- 슬라이스 기계에서 무채를 썰어내는 부분에서 형성되는 위험점 :
- 절단점
- 슬라이스 기계 동종 재해 방지 안전 대책 :
- 슬라이스 부분 덮개, 울, 시건장치 설치
- 습윤한 장소 이동전선 사용전 조치사항 3가지:
- 전선의 피복 또는 외장의 손상 유무 점검, 접속부위의 절연 상태 점검, 절연 저항 측정 실시
- 전원접속부에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전동기를 가진 기계 기구 :
- 누전차단기 설치
- 밀폐공간 작업시 착용 보호구 3가지 :
- 송기마스크, 안전모, 안전화
- 밀폐공간 작업장은 산소농도 18% 이상일 때 출입가능
- 항타기 항발기 작업시 충전전로에 근로자 감전 위험시 조치사항 :
- 당해 충전전로 이설,
- 감전 위험 방지 방책 설치,
- 당해 충전전로에 절연용 방호구 설치,
- 상기 항목 불가능시 감시인 두고 작업을 감시
- 당해 충전전로 이설,
- 지게차에 적재된 화물이 현저하게 시계를 방해할 경우 운전자 조치 :
- 하차하여 주변안전 확인, 유도자 지정 지게차 유도 또는 후진 서행, 경적과 경광등 사용
- 정전작업시 안전조치사항 :
- 개로된 개폐기에 시건을 하거나 통전금지 사항을 표시,
- 전류전하 발생 전로의 경우 잔류전하를 확실히 방전시키는 조치,
- 검전기로 충전여부 확인, 오통전 다른 전로의 접촉이나 유도 방지를 위한 단락 접지
- 개로된 개폐기에 시건을 하거나 통전금지 사항을 표시,
- 작업자가 정전상태를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보장치 : 활선경보기

반응형
'자격증 공부방 > 산업안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 산업안전기사 실기 작업형 핵심요약 (1) | 2024.04.27 |
---|---|
02. 산업안전기사 실기 작업형 핵심요약 (1) | 2024.04.24 |
21. 산업안전기사 실기 기출문제 및 요점정리 (1) | 2024.03.31 |
20. 산업안전기사 실기 기출문제 및 요점정리 (1) | 2024.03.31 |
19. 산업안전기사 실기 기출문제 및 요점정리 (0) | 2024.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