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위험방지 기술]-1
1. 기계설비의 안전조건 4가지
1)외형의 안전화 2)작업점의 안전화 3)기능의 안전화 4)구조의 안전화 5)보전작업의 안전화 |
2. 지게차 헤드가드가 갖추어야 하는 사항 2가지
1)강도는 지게차의 최대하중의 2배값(4톤을 넘는 값에대해서는 4톤으로 한다)의 등분포정하중에 견딜 수 있을 것 2)상부틀의 각 개구의 폭 또는 길이가 16cm 미만일 것 3)운전자가 앉아서 조작하거나 서서 조작하는 지게차의 헤드가드는 좌식은 0.903m, 입식은 1.88m 이상일 것. |
3. 지게차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때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1)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2)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3)바퀴의 이상 유무 4)전조등, 후미등, 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
4. 롤러기의 방호장치인 급정지장치의 설치위치 종류 3가지?
1)손조작식 : 밑면에서 1.8m 이내 2)복부조작식 : 밑면에서 0.8m 이상 1.1m 이내 3)무릎조작식 : 밑면에서 0.6m 이내(또는 밑면으로부터 0.4m 이상 0.6m 이내) |
5. 롤러기의 앞면 롤러의 표면속도에 따른 급정지거리를 계산하는 공식이다. 급정지거리는?
1)앞면 롤러의 표면속도 30m/min 미만 : 앞면 롤러 원주의 1/3 이내 2)앞면 롤러의 표면속도 30m/min 이상 : 앞면 롤러 원주의 1/2.5 이내 |
6. 연삭기 덮개의 시험방법 중 연삭기 작동시험 확인사항?
1)연삭(숫돌)과 덮개의 접촉 여부 2)탁상용 연삭기는 덮개, (워크레스트) 및 (조정편) 부착상태의 적합성 여부 |
7. 연삭숫돌의 파괴원인 4가지
1)숫돌의 회전속도가 너무 빠를 때 2)숫돌 자체에 균열이 있을 때 3)숫돌의 측면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 4)숫돌에 과대한 충격을 가할 때 5)플랜지가 현저히 작을 때(플랜지 지름은 숫돌 지름의 1/3이상일 것) 6)숫돌 불균형, 베어링 마모에 의한 진동이 심할 때 7)반지름 방향 온도변화 심할 때 |
8. 연삭숫돌은 작업 시작 전
(1분)이상 시험운전, 교체한 후에는 (3분)이상 시험운전 할 것. |
9. 기계의 원동기, 회전축, 풀리, 플라이 휠 등의 보호장치 3가지
1)덮개 2)슬리브 3)울 4)건널다리 |
(산안규칙에서 규정하는 원동기, 회전축의 위험방지를 위한 기계적인 안전조치 3가지)
10. 고속회전체 비파괴검사 관한 내용
사업주는 고속 회전체 (회전축 중량이 (1톤)을 초과하고 원주속도가 초당 (120)m 이상인 것으로 한정한다.)의 회전시험을 하는 경우 미리 회전축의 재질 및 형상 등에 상응하는 종류의 비파괴 검사를 해서 결함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
11. 공장의 설비 배치 3단계를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 지역배치 ⇒ 건물배치 ⇒ 기계배치 |
12. 양중기의 종류 4가지 :
곤돌라, 크레인, 리크트, 승강기, 이동식 크레인 |
13. 양중기에 사용하는 달기체인의 사용금지 항목 3가지
(달비계에 사용해서는 아니 되는 달기체인의 조건 3가지) 1)달기체인의 길이가 달기체인이 제조된 때의 길이의 5%를 초과할 것 2)링의 단면지름이 달기체인이 제조된 때의 해당 링의 지름이 10%를 초과하여 감소한 것. 3)균열이 있거나 심하게 변형된 것 |
14. 양중기의 와이어로프(또는 달기체인)의 안전계수
1)화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달기 와이어로프 또는 달기체인의 경우 : (5)이상 2)근로자가 탑승하는 운반구를 지지하는 달기와이어로프 또는 달기체인의 경우 : 10이상 |
15. 건설용 리프트, 곤돌라를 이용하는 작업에서 근로자에게 하는 특별안전보건교육 내용 4가지
1)화물의 권상, 권하 작업방법 및 안전작업 지도에 관한 사항 2)기계, 기구, 달기체인 및 와이어 등의 점검에 관한 사항 3)방호장치의 기능 및 사용에 관한 사항 4)신호방법 및 공동작업에 관한 사하 5)기계, 기구의 특성 및 동작원리에 관한 사항 6)그 밖에 안전, 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 |
16. 차량용 하역운반기계 작업계획서 포함사항 2가지
1)해당작업에 따른 추락, 낙하, 전도, 협착 및 붕괴 등의 위험예방 대책 2)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의 운행경로 및 작업방법 |
16-1. 차량계 건설기계 작업계획서 내용
1)사용하는 차량계 건설기계의 종류 및 성능 2)차량계 건설기계의 운행경로 3)차량계 건설기계에 의한 작업방법 |
17.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지게차) 운전위치 이탈시 운전자 준수사항 2가지
1)포크, 버킷, 디퍼 등의 장치를 가장 낮은 위치 또는 지면에 내려둘 것. 2)원동기를 정지시키고 브레이크를 확실히 거는 등 갑작스러운 주행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3)운전석 이탈시 시동키를 운전대에서 분리시킬 것. 다만, 운전석에 잠금장치를 하는 등 운전자가 아닌 사람이 운전하지 못하도록 조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

반응형
'자격증 공부방 > 산업안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산업안전기사 실기 기출문제 및 요점정리 (1) | 2024.03.31 |
---|---|
19. 산업안전기사 실기 기출문제 및 요점정리 (0) | 2024.03.31 |
17. 산업안전기사 실기 기출문제 및 요점정리 (1) | 2024.03.31 |
16. 2024 산업안전기사 실기 기출문제 및 요점정리 (0) | 2024.03.26 |
15. 2024 산업안전기사 실기 기출문제 및 요점정리 (0) | 202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