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공부방/산업안전기사

03. 산업안전기사 실기 작업형 핵심요약

고퓨GO2theFUTURE 2024. 4. 27. 00:08

 

 

  1. 1만볼트 고압선 아래 크레인을 이용한 작업시 안전 대책 :
    • 작업계획 사전 협의,
    • 당해 충전선로 이설,
    • 당해 충전선로에 절연용 방호구 설치,
    • 감독자 선임,
    • 크레인에 대하여 접지공사 실시,
    • 크레인 운전자 및 작업자에게 작업전 안전교육 실시,
    • 송 배전선에 대한 이격거리 유지를 위해 접근경보장치 설치,
    • 지상 하역자 활선 작업복장 착용
  2. 지하에 설치된 폐수처리조에서 슬러지처리 작업시 작업자가 들어갈 때 필요한 호흡용 보호구의 종류 :
    • 송기마스크, 공기호흡기, 산소호흡기.
  3. 작업자가 작업중 순간 혼절하여 7 - 8분 이내 사망하는 산소농도 : 약 8%
  4.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 내용중 작업근로자의 건강장해예방에 관한 사항
    • 작업시작전 적정공기상태 여부의 확인을 위한 측정 평가,
    • 응급조치 등 안전보건교육 및 훈련,
    • 공기호흡기 또는 송기마스크 등의 착용 및 관리
  5. 교량 하부 점검시 발생한 안전사고 원인 :
    • 안전대 부착설비 및 안전대 착용 안함,
    • 안전난간 설치불량,
    • 추락방지망 미설치,
    • 작업자 주변 정리정돈 불량,
    • 작업전 작업발판 등 부속설비 점검 미비
    • 작업발판의 폭 40CM
  6. 유기용제의 증기발산원을 밀폐하는 설비 또는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행하는 옥내작업장의 경우 착용해야하는 호흡용 보호구:
    • 유기가스용 방독마스크
  7. 선반작업중 안전준수사항 미준수로 일어날 수 있는 재해요인 :
    • 회전물에 샌드페이퍼를 감아 손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복과 손이 감겨들어간다,
    • 작업에 집중하지 못하여 실수로 작업복과 손이 말려 들어간다,
    • 손을 기계위에 올려놓고 작업을하고 있어 손이 미끄러져 회전물에 말려들어간다. 회전말림점
  8. 승강기 컨트롤패널 점검중 발생가능 동종재해방지대책 :
    • 당해 잔류전하가 제거될 때까지 기다린 후 작업한다,
    • 전압계 등으로 측정하여 무전압상태를 확인후 작업한다,
    • 당해 잔류전하를 확실하게 방전시킨다,
    • 개로된 전로의 잔류전하의 충전여부를 검전기구로 확인후 작업한다,
    • 방전중인 경우 표찰을 사용한다,
    • 작업자들에게 당해 작업시의 전기위험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9. 에어 배관 점검중 발생가능 재해 관련 위험예지훈련 행동목표 두가지:
    • 에어배관 점검 작업시 주밸브를 잠그고 보안경을 착용하자
    • 에어배관 점검 작업시 배관내 남은 압력이 빠진것을 확인하고 보안경을 착용하자
  10. 박공지붕 설치 작업중 비래 재해 발생 원인 :
    • 적치해 둔 박공지붕의 체결이 안되어 있는 등 적치상태가 좋지 않았다,
    • 근로자가 위험한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였다,
    • 추락방지망이 설치되지 않았다,
    • 한곳에 과적하여 적치하였다,
    • 안전대 부착설비 및 안전대 착용을 하지 않았다,
    • 안전한 작업발판을 설치하지 않았다.
  11. 벌목작업시 착용하여야 할 보호구 :
    • 보안경, 귀덮개
  12. 형강이 걸린 줄걸이 와이어를 빼내고 있는 상황 하에서 발생된 사고사례
    • 가해물 : 와이어로프
  13. 적합한 작업방식 : 지렛대를 와이어로프가 물려있는 형강사이에 넣어 형강이 무너지지 않을 정도로 들어올려 와이어를 빼내는 작업이다,
    • 와이어를 빼기 위한 작업은 1인으로는 부적합하며 반드시 2인이상이 지렛대를 동시에 들어올리는 작업을 한다.
  14. 작업자가 스피커에서 나오는 지시사항을 정확히 듣지 못한 상태에서 MCC 패널 차단기의 전원을 투입하여 발생한 재해사례 방지 대책 :
    • 각 차단기별로 회로명을 표기하여 오작동 방지 잠금장치 및 표지를 사용하여 해당자 이외의 오작동을 막는다,
    • 작업자에게 당해작업시의 전기위험에 대한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 작업자간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무전기 등 연락가능장비를 이용하여 재차 확인절차를 준수한다
  15. 선박 밸러스트 탱크 내부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작업중 가스질식 대비 비상시 피난용구:
    • 도르래, 로프, 구명밧줄, 안전대, 피재자구조용발판, 호흡용보호구
  16. 타워크레인 이용 철제비계 운반도중 어떤 안전운전방법을 준수치 않아 발생된 사고인가:
    • 신호수를 배치하지 않았다,
    • 권상하중을 작업자 위로 통과시켰다,
    • 무전기 등을 사용하여 신호하거나 일정한 신호방법을 미리 정하지 않았다,
    • 유도로프를 설치하지 않았다,
    • 크레인 작업반경 밖의 적당한 위치에 하중을 내려 놓기 위해서 매단 하물을 흔들었다.
  17. 버스 정비 작업중 안전을 위해 취해야 할 사전 안전조치 사항 3가지:
    • 정비 작업중임을 나타내는 표지판을 설치할 것, 작업과정을 지휘할 작업자를 배치할 것,
    • 시동장치에 잠금장치를 할 것,
    • 작업중 운전금지를 위하여 열쇠를 별도보관 할 것
  18. 프로펠라 샤후드의 재해 :
    • 회전 말림점
  19. 도로상 가설전선 점검시 감전사고 예방 대책 :
    • 이동전선 절연조치할 것,
    • 정격누전차단기 설치,
    • 정전작업실시,
    • 근로자 감전에 대비한 절연보호구 착용
  20. 재해정의 : 감전 - 전기접촉이나 방전에 의해 사람이 충격을 받는 것
  21. 인화성물질 취급시 핵심 위험 요인 :
    • 점화원에 접촉시 인화 폭발 위험 상존
  22. 인화성 물질 저장시 누출 대비 바닥 등에 방지턱 설치 높이 : 15CM
  23. 아파트 옥상 벽돌 운반 도중 발생 사고 재해발생 원인 2가지 :
    • 추락방지망 미설치
    • 옥상바닥 안전난간 미설치,
    • 안전대 미착용,
    •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
  24. 동종 재해 예방 설비 : (안전대 부착을 위한) 안전난간
  25. 방진마스크의 성능검정 규정에서 제시한 일반적인 구조조건 4가지 :
    • 착용시 이상한 압박감이나 고통을 주지 않아야 한다,
    • 전면형은 호흡시 투시부가 흐려지지 않아야 한다,
    • 안면부여과식 마스크에 있어서 여과재로 된 안면부가 사용기간 중 심하게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 안면부여과식 마스크는 여과재를 안면부에 밀착시킬수 있어야 한다,
    • 분리식마스크에 있어서는 여과재 흡기밸브, 배기밸브 및 머리끈을 쉽게 교환할 수 있고 착용자 자신이 안면과 분리식마스크의 안면부와의 밀착성 여부를 수시로 검사할 수 있어야 한다.
  26. V 벨트 교환 작업시 기계운전상 안전수칙 :
    • 작업시작 전 전원을 차단한다.
  27. V 벨트 교체작업 :
    • 천대장치를 사용한다, 보수작업중이라는 안내표지 부착
  28. V 벨트 교체시 기계설비의 위험점 :
    • 접선물림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