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9

[토양환경기사] 3.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기출4)

41. 식물정화법 중 오염물질이 뿌리 주변에 비활성의 상태로 축척되거나 식물체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되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은? ① 근권여과 ② 식물분해 ③ 식물추출 ❹ 식물안정화​42. 폐기물의 고형화 안전화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폐기물의 용해성이 감소한다. ② 폐기물의 부피감소가 가능하여 취급이 용이해진다. ❸ 폐기물의 비표면적증가로 매립지반의 안정성이 증가한다. ④ 폐기물내의 오염물질이 특성형태에서 비독성형태로 변형된다.​43. 토양의 사막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가축의 과방목 ❷ 염류직접 토양의 비율감소 ③ 식량생산을 위한 관개농업의 확대 ④ 토지확보를 위한 지나친 산림벌목​44. 생물학적 통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오염물질을 매우 낮은 농도까지 처리..

[토양환경기사] 3.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기출3)

41. 일반적으로 유기화학물질의 생분해능은 화합물의 분자구조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다음 중 생분해기능이 가장 높은 화합물은? ① 할로겐화된 화합물 ② 가지구조가 많은 화합물 ❸ 원자의 전하차가 작은 화합물 ④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화합물​42. 생물학적 복원기법에서는 호기성 조건을 형성하기 위하여 산소를 주입하여야 한다. 적정한 산소주입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압축산소 주입 ② 대기 중의 공기 주입 ❸ 과산화질소(N2O2) 주입 ④ 과산화수소(H2O2) 주입​43. 바이오스파징(Biosparging)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지하수의 부가적인 처리가 필요 없다. ❷ 오염물질이 확산될 가능성이 낮다. ③ 지상의 영업이나 활동에 방해받지 않고 정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④ ..

[토양환경기사] 3.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기출2)

41. 화학적 산화/환원법을 적용하여 오염토양을 처리할 때, 널리 사용되는 화학적 산화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❶ 염화나트륨 ② 이산화염소 ③ 과망간산염 ④ 과산화수소수​42. 다음 중 원위치(in-situ) 오염토양 처리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토양증기추출법(Soil vapor extraction) ② 공기분사법(Air sparging) ③ 동전기정화법(Electrokinetic) ❹ 열탁착법(Thermal desorption)​43. Bioventing법을 적용하기 위해 산소소모율을 구하고자 한다. 주입공기의 유량이 1440m3/d, 초기 산소농도가 20.9%, 배기가스의 산소농도가 3%, 토양의 부피가 2500m3, 공극률이 15%일 때, 산소소모율(%O2/d)은? ① 34.5 ② 46.4..

[토양환경기사] 3.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기출1)

41. 투수성 반응벽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오염물질을 주변의 흐름에 의존하여 처리지대로 이동시킨다. ② 대수층의 투수성이 낮고 오염 심도가 낮은 경우에 주로 채택하는 기술이다. ❸ 오염지역 밖으로 지하수의 이동을 막는 기술이다. ④ 용존성의 오염물질은 반응물질이 충진된 벽체를 통과하면서 처리된다.​42. 열탈착기술의 적용이 적합하지 않은 오염물질은? ① 중유 ❷ 크롬 ③ 윤활유 ④ VOC​43. 오염토양의 생물학적 처리에 필요한 환경조절 인자 중 전자수용체가 아닌 것은? ① 용존산소 ② Fe(Ⅲ) ③ NO3- ❹ Cl-​44. 오염물질과 그에 적합한 처리기술과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페놀 - 동전기법 ② 벤젠 - 토양증기추출법 ❸ PCBs - 토양증기추출법 ④ 방사선물질 – 고형화..

[토양환경기사] 2. 토양 및 지하수오염조사기술 (기출7)

21. 토양 내 수분 함량 측정을 위한 시료 관리에 관한 내용으로 ( )에 옳은 것은? ① 2일 ② 3일 ③ 5일 ❹ 7일​22. 황산용액(1→1000)로 표시된 수용액의 농도(ppm, W/V)는? (단, 순수한 황산의 비중 = 1.84) ① 1.84 ② 18.4 ③ 184 ❹ 1840​23. 원자흡수분광광도법 적용 시 사용되는 다음의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명선(Resonance line) : 원자가 외부로부터 빛을 흡수했다가 다시 먼저 상태로 돌아갈 때 방사하는 스펙트럼선 ❷ 다원료 불꽃(Fuel-rich Flame) : 조연성 가스/가연성 가스의 비를 크게 한 불꽃 ③ 중곡음극 램프(Hollow Cathode Lamp) : 원자흡수분광광도법의 광원이 되는 것으로 목적원소를 함유하는..

[토양환경기사] 2. 토양 및 지하수오염조사기술 (기출6)

21. 유기인화합물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할 때 정밀도(% RSD)기준으로 ( )에 옳은것은? (단, 정도보증/정도관리에 따라 산정) ① 5% ② 10% ③ 20% ❹ 30%​22. 토양시료 중 BTEX 시료보관에 관한 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① 시험관에 채취된 시료를 즉시 실험할 수 없는 경우에는 0~4℃ 냉암소에서 보관하고 7일 이내 분석해야 한다. ❷ 시험관에 채취된 시료를 즉시 실험할 수 없는 경우에는 0~4℃ 냉암소에서 보관하고 14일 이내 분석해야 한다. ③ 시험관에 채취된 시료를 즉시 실험할 수 없는 경우에는 질산을 주입하여 pH 2이하에서 보관하고 7일 이내 분석해야 한다. ④ 시험관에 채취된 시료를 즉시 실험할 수 없는 경우에는 질산을 주입하여 pH 2이하에서 보관하고 14일 이내 분..

[토양환경기사] 2. 토양 및 지하수오염조사기술 (기출5)

21. 시험용 시료의 조제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 )에 가장 적합한 것은? ❶ 눈금간격 0.075mm ② 눈금간격 0.05mm ③ 눈금간격 0.01mm ④ 눈금간격 0.005mm​22.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 중 수소불꽃이온화검출기(FID)로 검출되는 가장 적합한 것은? ① PCB ② 유기수온 ③ 잔류 농약 ❹ TPH​23. 토양수분함량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증발접시는 미리 105~110℃에서 1시간 건조시킨다. ② 시료를 105~110℃의 건조기 안에서 4시간 이상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한다. ③ 증발접시는 시료두께를 10mm 이하로 넓게 펼 수 있는 정도로 하부 면적이 넓은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❹ 이 시험기준에 의해 토양 중 수분은 0.01%까지 측정한다.​24. 토양오염관리대상..

[토양환경기사] 2. 토양 및 지하수오염조사기술 (기출4)

21.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의 자외선/가시관선분광법에 따라 토양 중의 6가트롬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때 사용하는 자외선/가시선 분광광도계의 흡수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료액의 흡수파장이 약 370nm이하일 때는 석영 흡수셀을 사용한다. ❷ 따로 흡수셀의 길이를 지정하지 않았을때는 15nm 셀을 사용한다. ③ 시료셀에는 시험용액을, 대조셀에는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정제수를 넣는다. ④ 시료액의 흡수파장이 약 370nm이상일 때는 석영 또는 경질유리 흡수셀을 사용한다.​22.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상의 페놀류 및 페놀류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정량한계는 페놀이 0.02mg/kg, 펜타클로페놀이 0.1mg/kg이다. ❷ 페놀류 분석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분석방법이..

[토양환경기사] 2. 토양 및 지하수오염조사기술 (기출3)

21. 토양 분석을 위하여 진한 염산(12N)으로 0.1N의 염산 250mL을 만들고자 한다. 필요한 진한 염산(12N)의 양(mL)은? ① 1.5 ❷ 2.1 ③ 3.4 ④ 5.2​22. 유리전극법에 따라 토양의 pH를 측정할 때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은? ❶ 5 ② 10 ③ 15 ④ 20​23. 광산활동 지역에 대해 상세조사를 수행하기 위해 30개의 지점에서 표토시료를 채취하였다. 조사지역의 최대 오염토양면적(m2)은? ① 30000 ❷ 45000 ③ 67500 ④ 135000​24. 수소화물생성-유도결합플라스마-원자발광분광법에 따라 토양 중의 비소를 분석할 때, 토양 내에 고농도(4000mg/L이상)로 존재하여 화학적 간섭을 일으키는 물질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① 니켈 ❷ 아연 ③..

[토양환경기사] 2. 토양 및 지하수오염조사기술 (기출2)

21.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상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에 따라 분석하는 유기인 화합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이피엔 ② 파라티온 ❸ 말라티온 ④ 다이아지온​22. 저장물질이 있는 누출검사대상시설-기상부의 시험법 중 미가압법 측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누출검사대상시설내 기상부 높이가 200mm 이하인지를 확인한 후 가압한다. ② 가압속도가 누출검사대상시설 공간용적 1m3당 1분 이상이 되도록 가압시간을 조정한다. ③ 가압 중에 노출되어 있는 배관접속부 등에 비눗물 등을 뿌려 누출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④ 가압 후 15분 이상 유지시간을 두어 안정시키고 그 이후 15분 동안의 압력강하를 측정한다.​23.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상의 시약과 용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따로 규정이 없..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