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
36. 물의 구조 및 성상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제대로 된 것을 고르시오. (2점)
① 물은 증발열이 매우 커 생물체의 결빙을 막아준다.
※② 물의 비열은 달에 비해 5배가 큰 편이다.
③ 물의 밀도는 4℃에서 가장 작다.
④ 물은 수소결합이라는 척력이 있어 결합력이 적은 편이다.
37. 벤젠으로 오염된 주유소 오염토양에 대한 생물학적인 처리실험을 위하여 Microcosm이란 반응조를 제작하고자 한다. 이때 벤젠 1.2 g을 반응조에 주입하려 한다면 액상으로 존재하는 벤젠 시약병에서 취해야 하는 벤젠 량은 얼마인가? (단, 벤젠의 비중량은 0.89(kg/L)이다.) (4점)
① 0.0135 L
② 0.135 mL
※③ 1.35 mL
④ 13.5 μL
38. 조류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잘못 된 것을 골라라. (2점)
① 엽록소를 함유하고 있다.
※②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사용한다.
③ 부영양화를 유발한다.
④ 산소를 발생한다.
39. 다음은 이상적 완전혼합(Ideal completely mixed flow)에 대한 물의 혼합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들을 정리한 자료이다. 잘못 설명한 것을 고르시오. (2점) ※2

40. 다음 수질오염원에 대한 설명 중 제대로 설명한 것은? (4점)
① 도시하수는 대표적인 비점오염원이다.
② 축산폐수는 생분해성 물질이 많아 COD가 매우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③ 점오염원은 배출지점이 불명확한 특징을 가진다.
※④ 도시지역에서는 비점오염부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 (41~42) A 하수처리장에는 하루에 하수 1,200,000 m3 이 유입되
며, 생물 반응조 용량을 320,000 m3 으로 설계 시공하였다. 다음 물음에 답하라.
41. 이 처리장 생물 반응조의 이론적인 체류시간은 얼마인가? (2점)
(단 필요하면 HRT = V/Q를 이용하라.)
① 5.5 시간 ※② 6.4 시간
③ 6.9 시간 ④ 7.4 시간
42. 이 하수처리장 생물반응조의 수리학적 흐름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브롬(Br)을 이용하여 tracer test를 수행하였다. 이 반응조의 흐름이 불완전 혼합흐름이라고 한다면 브롬을 임펄스(순간적)로 유입구에 주입한 후 시간에 따른 유출수내 추적자 농도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그림을 다음 중 말하라. (4점) ※3

43. 용량이 3 L인 어항의 DO농도가 4 ppm 이하이면 금붕어가 생존할 수 없다고 한다면, 산소전달계수 KLα 가 2.0/hr 인 확산석을 이용하여 공급해야할 산소량(mg/hr)은 얼마인가? 단 α와 β값은 각각 0.9, 포화용존산소농도는 9.2 mg/L, 온도(℃)는 20 ℃이며 필요하면 다음 식을 이용하라.

① 7.7 ② 12.0
③ 18.5 ※④ 23.1
※ (44~45) 반응속도에 관한 다음에 답하라.
44. 다음 식 중 1차반응식을 나타내는 반응속도 식으로 적당한 것을 골라라. (단, C0는 초기농도, K는 반응속도상수, t는 시간이다.)(2점)
※① ln(C/C0) = -Kt
② 1/C - 1/ C0 = Kt
③ C = -Kt + C0
④ ln(1/C-1/ C0) = Kt
45. 유기용매로 사용하는 트리클로로에틸렌(TCE)은 발암성 물질로, 지하수 내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TCE 에폭사이드로 1차반응으로 분해된다. 어느 지하수의 수질분석 결과 TCE 농도가 2.0mg/L일 때 TCE가 0.02 mg/L까지 분해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얼마인가? (단, 반응속도상수(K)는 0.02/d 이다.) (4점)
① 197일 ※② 230일
③ 245일 ④ 365일
46. 다음은 물의 점성 및 모세관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 설명된것은? (2점)
※① stoke는 점성계수의 단위이다.
② 가느다란 관을 수은 속에 세우면 수은은 하강한다.
③ 물의 점성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④ 표면장력이 클수록 모세관현상에 의한 상승고는 커진다.
47. 메탄올(CH3OH)에서 탄소의 산화수는 얼마인가? (2점)
① 0 ② -1
※③ -2 ④ +2
48. 다음 미생물의 성장단계 중 F/M비가 높은 경우에 발생하는 분산성장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무엇인가? (4점)
① 감소성장단계
② 적응기
③ 내생호흡단계
※④ 대수성장단계
49. 다음은 산화환원반응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 (2점)
① 생물학적 하수처리에서 하수내 유기물은 산화에 의해 제거된다.
※② 산소는 산화환원반응에서 전자를 얻게 되는 중요한 환원제이다.
③ 살균소독에 사용하는 염소나 오존은 산화수가 감소한다.
④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나면 전류가 생성된다.
50. 다음 미생물의 신진대사 중 에너지 발생량이 가장 큰 것은 무엇인가? (2점)
※① 호기성 호흡
② 산 발효
③ 탈질화
④ 메탄형성
51. 다음 중 가장 제대로 설명된 것을 고르시오. (2점)
① 생태독성 평가는 기존의 배출허용기준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유해물질에 대한 관리는 어렵다.
② 가장 대표적인 수중에서의 질소 순환 단계는 Organic N →NO3- (nitrate) → NH3(ammonia) → NO2-(nitrite) → N2(g)이다.
※③ 분변성 오염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미생물로는 총대장균이 대표적이다.
④ 자연수내의 인 농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다.
52. 150 mL의 하천수가 0.345 mg의 나트륨을 함유하고 있다면 이 시료의 나트륨 농도는 ppm으로 얼마인가? (2점)
① 1.3 ppm
※② 2.3 ppm
③ 3.3 ppm
④ 4.3 ppm
※ (53~54) 다음은 어느 지하수를 분석한 결과이다. 물음에 답하라.

53. 빈칸 ㉠과 ㉡에 알맞은 값이 각각 제대로 묶여진 것은 무엇인가?
(단, 분석은 제대로 되었다고 가정한다.) (4점)
① 40, 2.0
② 50, 2.5
※③ 60, 3.0
④ 60, 2.0
54. 이 시료의 알칼리도는 얼마인가? (2점)
① 183 mg/L as CaCO3
※② 150 mg/L as CaCO3
③ 139 mg/L as CaCO3
④ 124 mg/L as CaCO3
55. 다음 중 전자수용체가 다른 미생물은 무엇인가? (4점)
① 호기성 종속영양 미생물
② 질산화 미생물
※③ 탈질(화) 미생물
④ 철산화 미생물
56. 다음 수질지표에 관한 설명 중 제대로 된 것은? (2점)
※① Geosmin은 냄새유발 물질이다.
② 부유물질을 TS 라 한다.
③ 탁도가 높은 물은 정수장에서 소독효과를 증가시킨다.
④ NOM은 색도유발물질이 아니다.
57. 다음은 미생물의 신진대사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4점)
※① 신진대사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는 ADP에 저장하여 사용된다.
② 조류는 탄소동화작용을 한다.
③ 혐기성분해는 산형성과 메탄형성의 두 단계로 이루어지므로 세포합성량이 작다.
④ 동화작용은 미생물을 합성하는 과정이다.
58. 다음은 BOD, COD 및 TOC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4점)
① 통상 CODCr값은 BOD 비해 큰 값을 나타낸다.
※② BOD 값이 클수록 생분해가 어려운 유기물농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③ BOD 값은 주로 5일 BOD를 이용한다.
④ TOC는 낮은 농도의 유기물농도 측정에 유용하다.
59. 다음 중 통합적인 수질오염평가지수를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2점)
① NSF
② Delphi
※③ WQI
④ WEF
60. 질산성질소(NO3-)와 메탄올(CH3OH)이 미생물에 의해 질소가스 (N2)와 이산화탄소(CO2)로 분해되는 산화․환원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이 반응에서 산화하는 원자는 무엇인가? (2점)
5CH3OH + 6NO3- + 6H+ → 5CO2 + 3N2 + 13H2O
※① C ② H
③ O ④ N
출처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자격증 공부방 > 환경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환경] 수질시험법 기출문제 핵심요약 정리 (0) | 2024.06.02 |
---|---|
[보건환경] 수질관리 2018 기출문제 (0) | 2024.06.02 |
[보건환경] 수질관리 2019 기출문제 (0) | 2024.06.02 |
대기오염관리 2017 방송대 방통대 기출문제 (0) | 2024.05.09 |
대기오염관리 2018 방송대 방통대 기출문제 (0) | 2024.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