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
36. 물의 성상에 대한 다음 중 제대로 설명된 것을 고르시오. (2점)
① 물은 산소결합 때문에 고유한 성상을 가진다.
② 비열이 작기 때문에 수온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한다.
③ 증발열이 작아 지구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④ 밀도는 4 ℃에서 가장 크다.
37. 벤젠으로 오염된 주유소 오염토양에 대한 생물학적인 처리실험을 위하여 반응조를 만들고자 한다. 이때 벤젠 0.01 g을 반응조에 주입하기 위해 액상으로 존재하는 벤젠 시약병에서 취해야 하는 벤젠량은 얼마인가? (단 벤젠의 비중량은 0.89(kg/L) 이다.) (4점)
※① 0.011 mL
② 0.11 mL
③ 1.1 mL
④ 10.1 mL
38. 다음은 표면장력 및 모세관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2점)
① 표면장력이 클수록 물속에 세운 유리관내 물의 상승고는 증가한다.
② 가느다란 관을 수은 속에 세우면 수은은 하강한다.
※③ 표면 장력은 액체표면의 접선에 작용하는 힘으로 온도와 무관하게 동일하다.
④ 식물 조직의 영양물질 공급에 큰 영향을 미친다.
39. 다음 중 동점성계수를 나타내는 단위와 관계가 먼 것은? (2점)
① m2/sec
※② 푸아즈(Poise)
③ 스토크(Stoke)
④ cm2/s
※ (40~41)
A 지역 하수처리장 건설이 완성되어 시범 운전 중에 있다. 이 처리장에는 하루에 하수 100,000 m3이 유입되며, 생물 반응조 용량을 35,000 m3으로 설계 시공하였다. 다음 물음에 답하라.
40. 이 처리장 생물 반응조의 이론적인 체류시간은 얼마인가? (2점)
(단 필요하면 HRT= V/Q를 이용하라.)
① 4.5 시간
② 5.0 시간
③ 6.0 시간
※④ 8.4 시간
41. 이 하수처리장 생물반응조의 수리학적 흐름상태 및 실제 체류시간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브롬(Br)을 이용하여 tracer test를 수행하였다. 브롬은 임펄스(순간적)로 유입수에 유입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유출수내 브롬이온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생물반응조의 실제 체류시간을 계산하라.
(단 필요하면 HRT=ΣCiTi /ΣCi를 이용하라.) (2점)

※① 3.94 시간
② 4.51 시간
③ 5.04 시간
④ 7.4 시간
42. 생물반응조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반응조의 DO농도를 최소한 1 mg/L 이상으로 유지시켜야 미생
물이 성장할 수 있다고 한다. KLa가 3.0/hr 인 산기식 포기기를
이용하여 산소를 공급하는 경우 포기조에 공급해 주어야 하는
산소량(kgO2/hr)은 최소 얼마인가? (4점)
(단 α = β = 1.0, Cs = 9.2 mg/L, 온도는 20 ℃, dO/dt = αKLa(βCs-Ct) × 1.024(T-20) 이며 포기조 부피는 2500 m3이다.)
① 43.5 ② 56.7
※③ 61.5 ④ 73.5
43. 다음은 화학평형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 설명된 것을 골라라.(2점)
① 평형상수값이 크다는 것은 생성물의 농도가 반응물의 농도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② 화학평형시 정반응속도와 역반응속도는 같다.
③ 이온활동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이온활동도 계수를 알아야한다.
※④ 용해도가 큰 고형물의 화학평형은 용해도적(Ksp)으로 표시한다.
44. 어느 염색폐수의 수산기이온(OH-) 농도가 10-3.3M 일 때 pH 값
은 얼마인가? (2점)
① 3.3 ② 6.5
③ 8.7 ※④ 10.7
45. CrCl3 에서의 크롬의 산화상태는? (2점)
① -2 ※② +3
③ +5 ④ +6
46. 다음 반응식은 마그네슘(Mg)과 염산(HCl)이 반응하는 식이다. 이 반응에서 환원하는 원자를 제대로 묶은 것은? (2점)
Mg + 2HCl → MgCl2 + H2
① Mg ※② H
③ Cl ④ H, Cl
47. 다음은 미생물학에서의 산화환원 반응 및 에너지에 관한 내용이다. 제대로 설명된 것은? (4점)
① 미생물학에서는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표현한다.
② 혐기성미생물은 ORP 값이 0보다 큰 곳에서 활발한 대사작용을 한다.
※③ 활성슬러지 공법으로 처리하는 하수처리장에서 하수는 전자공여체의 역할을 담당한다.
④ 미생물 신진대사과정에서의 에너지 생성량은 기브스 자유에너지로 표현되며, 이 값이 0보다 큰 경우에는 반응이 반응식 진행방향으로 잘 일어남을 의미한다.
48. 가정하수 내 BOD가 1차 반응에 의해 초기농도 200 mg/L에서 반응 3시간 후에 30 mg/L로 처리되었다. 이때 BOD가 5 mg/L까지 처리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얼마인가? (4점)
(단 필요하면 C1 / Co = e-kt 를 활용하라.)
① 3.47 hr ② 4.24 hr
※③ 5.86 hr ④ 6.45 hr
49. 다음 미생물 중 성장을 위한 먹이(탄소원) 취득방법이 나머지와 크게 다른 것은? (2점)
※① 종속영양 박테리아 ② 황산화 박테리아
③ 질산화 박테리아 ④ 조류
50. 다음 중 슬러지 팽화(Sludge bulking)와 관련이 있는 미생물은?(2점)
① 조류(Algae) ※② 균류(Fungi)
③ 원생동물(Protozoa) ④ 박테리아
51. 다음은 미생물의 신진대사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4점)
① 혐기성분해는 산형성과 메탄형성의 두 단계로 이루어지므로 세포합성량이 작다.
② 호기성 반응의 전자수용체는 산소이다.
③ 이화작용은 미생물 합성 및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는 호흡과정이다.
※④ 신진대사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는 ADP에 저장되어 사용된다.
52. 다음 미생물의 성장단계 중 유기물 제거속도는 가장 크나 분산성장으로 인해 침전성은 불량한 단계는? (2점)
① 감소성장단계 ② 적응기
※③ 대수성장단계 ④ 내생호흡단계
53. 어느 지하수 시료의 벤젠농도가 0.03 mg/L 이였다면 이를 M농도로 환산하면 얼마가 되는가? (단 벤젠의 분자량은 78이다.)(2점)
① 6.41 × 10-7 M ② 0.00064 M
③ 3.85 × 10-5 M ※④ 3.85 × 10-7 M
※ (54~55) 다음 자료는 A 지점의 지하수를 분석한 결과이다. 아래 물음에 답하라.

54. HCO3- 이온의 mg/L 농도(1)와 me/L 값(2)이 제대로 묶여진 것은? (단, 수질 분석은 제대로 되었다고 가정한다.) (4점)
① 35.5 mg/L, 2.0 me/L
※② 122 mg/L, 2.0 me/L
③ 61 mg/L, 2.0 me/L
④ 96 mg/L, 3.0 me/L
55. 이 시료의 총경도(mg/L as CaCO3)는 얼마인가? (4점)
① 100 mg/L
② 150 mg/L
※③ 200 mg/L
④ 250 mg/L
56. 다음은 물리적 수질오염지표들에 관한 내용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 (2점)
※① 총부유물질을 TS라 한다.
② 천연유기물들은 주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색도물질이다.
③ 콜로이드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Zeta potential을 작게 해야한다.
④ 아민류는 하수관거에서의 악취물질이다.
57. 다음은 유기물 수질오염지표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4점)
① COD와 BOD 값이 클수록 수질오염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② TOC는 낮은 농도의 유기물 농도 측정에 유용하다.
※③ BOD 값은 주로 최종 BOD를 이용한다.
④ 통상 중크롬산칼륨을 이용하여 측정한 COD는 BOD에 비해 큰 값을 나타낸다.
58. 다음 수질오염 지표들에 대한 설명 중 제대로 설명된 것을 고르시오. (2점)
① 인은 부영양화와는 관계가 없다.
② 수생생물에 독성을 유발하는 질소는 이온화된 암모니아성질소이다.
③ 분변성 오염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미생물로는 물벼룩이 적당하다.
※④ NSF WQI는 가장 대표적인 통합 수질오염 평가지표의 하나이다.
59. 다음은 비점원오염원에 대한 설명이다. 제대로 설명한 것은?(4점)
① 계절 및 강우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② 배출량의 변화가 매우 큰 편이다.
③ 주로 관거를 통해 집중적으로 배출된다.
④ 배출지점이 명확하다.
60. 생태독성 관리제도에 대한 내용 중 제대로 설명된 것은?(4점)
① TU(toxicity unit)는 실험대상 생물이 30% 이상 생존하는 농도(LC30)를 기준으로 하여 표현한다.
② 현재 외국 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독성 시험 생물종은 어류,물벼룩류, 조류, 박테리아등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조류를 이용한다.
③ 가정하수 등을 관리하는 제도이다.
※④ TU 값이 클수록 독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출처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자격증 공부방 > 환경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환경] 수질시험법 기출문제 핵심요약 정리 (0) | 2024.06.02 |
---|---|
[보건환경] 수질관리 2017 기출문제 (0) | 2024.06.02 |
[보건환경] 수질관리 2019 기출문제 (0) | 2024.06.02 |
대기오염관리 2017 방송대 방통대 기출문제 (0) | 2024.05.09 |
대기오염관리 2018 방송대 방통대 기출문제 (0) | 2024.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