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폐기물관리 2018 방송대 방통대 기출문제
36. 다음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것은?
원형입자들 간의 상호간섭이 없는 이상적인 침전에서는 입자들이 흐름에 따라 수평이동 하면서 중력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한다.
① 독립입자침전 ※
② 응집침전
③ 지역침전
④ 압밀침전
37. 다음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것은?
- 1차 침전지에서 나타남.
- 침전관을 이용하여 평가함.
① 독립입자침전
② 응집침전 ※
③ 지역침전
④ 압밀침전
38. 공극의 크기가 가장 큰 것은?
① MF ※ ② UF ③ NF ④ RO
39. 국내외적으로 침출수 처리에 많이 적용되는 것으로 와권형, 중공사형, 평막형, 관상형 모듈 등이 있는 것은?
① 투석 ② 역삼투 ※ ③ MF ④ UF
40. 주로 암모니아, 황화수소, 이산화황, TCE 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데 이용되는 것은?
① 탈기 ※ ② 흡착 ③ 막분리 ④ 부상
41. 다음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것은?
유체를 고체표면과 접촉시켜 이들 유체 내에 존재하는 물질을 고체로 이동시키는 표면현상이다.
① 탈기 ② 흡착 ※
③ 막분리 ④ 부상
42. 다음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것은?
비중차이에 의해 물 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기름 등)을 물표면 위로 떠오르게 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① 여과 ② 흡착
③ 탈기 ④ 부상 ※
43. Jar test와 관련이 있는 것은?
① 응집/응결 ※
② 알칼리도 조절
③ 이온교환
④ 산화/환원
44. 콜로이드성 입자들을 제거할 때, 이중층 압축, 전기적 중화, 입자간 가교, 침전물 거름작용 등의 기작이 관련되어 있는 것은?
① 응집/응결 ※
② 알칼리도 조절
③ 이온교환
④ 산화/환원
45. 다음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것은?
- 처리상 한계 농도는 2,500~4,000 mg/L이다.
- 고농도로 농축된 폐기물에 대한 사용은 수명단축과 재생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① 응집/응결
② 알칼리도 조절
③ 이온교환 ※
④ 산화/환원
46.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을 순서대로 알맞게 나열한 것은?
고도산화공정의 주요 대상물질은 생분해도가 ( ) 난분해성 ( )이다.
① 낮은, 유기물 ※
② 높은, 유기물
③ 낮은, 무기물
④ 높은, 무기물
47. 고도산화공정을 다른 말로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AOS ② BOS
③ BOP ④ AOP ※
48. 과산화수소를 오존 광분해로 직접 생산하며, 그리고 광분해 반응으로 유기물의 직접제거가 가능한 것은?
① O3 / UV ※
② H2O2 / UV
③ H2O2 / Fe2+
④ UV / TiO2
49. Peroxone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국, 프랑스 등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은?
① O3 / H2O2 ※
② O3 / UV
③ H2O2 / Fe2+
④ H2O2 / UV
50. 철염이 촉매로 작용하여 과산화수소를 ‘․OH’로 분해하며, 침출수, 염색폐수, 오염 토양지하수 처리에 많이 이용되는 것은?
① O3 / H2O2
② H2O2 / UV
③ H2O2 / Fe2+ ※
④ UV / TiO2
51. 최근 들어 성/스테로이드 호르몬, 제약 물질, 항생제 등의 미량 유해오염물질 처리에 활발히 이용되는 것은?
① O3 / H2O2
② H2O2 / UV ※
③ H2O2 / Fe2+
④ UV / TiO2
5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이 순서대로 적절한 것은?
염소 소독 시 생성되는 ( )과 같은 발암성 유해부산물 논란으로 인해 AOP 부산물에 대한 연구도 증가되고 있는데, 최근까지 발견된 AOP 부산물로는 저분자량의 유기물과 ( )가 중요 쟁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① TPHs, nitrate
② THMs, nitrate
③ TPHs, bromate
④ THMs, bromate ※
53. 안정화/고형화는 오염물질의 용출가능성을 반드시 평가해야 하는데, 최근 미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은?
① EP TOX ② TCLP ※
③ CALP ④ NOX
54. 최종산물로 CH4를 생산하는 전자수용체는?
① O2 ② CO2 ※
③ SO42- ④ NO3-
55. 무산소 조건과 관련이 있는 전자수용체는?
① O2 ② CO2
③ SO42- ④ NO3- ※
56. 탄소원으로 유기탄소를 그리고 에너지원으로 유기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는 것은?
① 광합성 독립영양 미생물
② 화학합성 독립영양 미생물
③ 광합성 종속영양 미생물
④ 화학합성 종속영양 미생물 ※
57. 중온균의 대략적인 최적온도는?
① 약 15℃
② 약 35℃ ※
③ 약 55℃
④ 약 75℃
58. 미생물이 반응조 안에 머무르는 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SRT ※
② HRT
③ PRT
④ CRT
59.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이 순서대로 알맞게 나열된 것은?
SRT가 너무 짧으면 미생물 농도는 ( )하고 ( )이 발생한다.
① 증가, wash in
② 감소, wash in
③ 증가, wash out
④ 감소, wash out ※
60.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이 순서대로 알맞게 나열된 것은?
HRT가 감소할수록 반응기 체적이 ( )하여 반응기 건설비용이 ( )한다.
① 증가, 증가
② 감소, 증가
③ 증가, 감소
④ 감소, 감소 ※
61. 다른 조건이 일정한 경우, 미생물의 비성장속도와 기질농도 사이에는 다음 그림과 같은 관계가 일반적으로 성립한다. X축과 Y축의 이름으로 알맞은 것은?
Y축

X축
① X축: 미생물의 성장속도, Y축: 기질농도
② X축: 미생물의 비성장속도, Y축: 기질농도
③ X축: 기질농도, Y축: 미생물의 비성장속도 ※
④ X축: 기질농도, Y축: 미생물의 성장속도
62. Monod식은 비성장속도가 저농도에서는 기질농도에 거의 선형으로 비례하고, 고농도에서는 기질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함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다. 이때 두 범위를 개략적으로 나누고 있는 것은? 2

63. 시간흐름에 따라 ‘유입-반응-침전-배출-대기’의 단계가 진행되는 것은?
① 부유성장 공정
② 부착성장 공정
③ SBR ※
④ 활성슬러지 공정
64. 다음 중 회분식 반응조에 해당되는 것은?
① 활성슬러지 공정
② 살수여상 공정
③ SBR ※
④ UASB 공정
65. 다음 중 고상처리가 아닌 것은?
① 토양파일 ② 토지처리
③ 퇴비화 ④ 슬러리상 처리 ※
66. 침전된 부유미생물의 일부를 폭기조로 반송하여 SRT를 HRT보다 크게 유지시키는 것은?
① 부유성장 공정 ※
② 부착성장 공정
③ 호기성 연속회분식 반응조
④ 혐기성 연속회분식 반응조
67. 다음의 설명과 관련이 있는 것은?
미생물은 다공성 벽체에 붙어 자라면서 지하수흐름을 따라 투과하여 지나가는 오염물을 분해한다.
① 바이오파일
② 생물반응벽 ※
③ 식물정화법
④ 자연정화법
68. 다음의 설명과 관련이 있는 것은?
인위적인 노력 없이 토양과 지하수내 오염물질의 농도, 독성, 이동, 부피가 자연적으로 감소되는 과정이다.
① 바이오파일
② 생물반응벽
③ 식물정화법
④ 자연정화법 ※
69. 다음의 설명과 관련이 있는 것은?
원 위치에서 불포화토양층을 대상으로 BTEX를 처리하는 것으로 불포화토양층에 직접 공기를 공급하는 방법이다.
① 바이오스파징
② 바이오벤팅 ※
③ 바이오필터
④ 생물반응벽
70. 다음의 설명과 관련이 있는 것은?
- 포화토양층에 대한 원 위치(in-situ) 생물학적 정화방법
- 호기성 미생물에게 DO와 영양물질을 공학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단시간 안에 유기독성물질의 생물학적 처리를 도모하는 방법.
① 자연정화법
② 식물정화법
③ 전처리 수반 생물반응조
④ 현장 지중 생물학적 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