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환경기사] 2. 토양 및 지하수오염조사기술 (기출4)
21.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의 자외선/가시관선분광법에 따라 토양 중의 6가트롬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때 사용하는 자외선/가시선 분광광도계의 흡수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료액의 흡수파장이 약 370nm이하일 때는 석영 흡수셀을 사용한다.
❷ 따로 흡수셀의 길이를 지정하지 않았을때는 15nm 셀을 사용한다.
③ 시료셀에는 시험용액을, 대조셀에는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정제수를 넣는다.
④ 시료액의 흡수파장이 약 370nm이상일 때는 석영 또는 경질유리 흡수셀을 사용한다.
22.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상의 페놀류 및 페놀류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정량한계는 페놀이 0.02mg/kg, 펜타클로페놀이 0.1mg/kg이다.
❷ 페놀류 분석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분석방법이므로 간섭물질이 있을 수 없다.
③ 운반기체는 부피백분율 99.999%이상의 헬륨으로서 유량은 0.5~4m/min, 시료도입부 온도는 150~320℃로 한다.
④ 토양 중 페놀 및 펜타클로로페놀을 아세톤/노말헥산(1:1)으로 추출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정량하는 방법이다.
23.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 총칙에 따른 용어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감압”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2O이하를 말한다.
② “방울수”라 함은 20℃에서 정제수 20방울을 적하할 때, 그 부피가 약 1mL되는 것을 뜻한다.
③ “정확히 단다”라 함은 규정된 양의 검제출 취하여 분석용 저울로 0.1mg까지 다는 것을 말한다.
④ “항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한다”라 함은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 무게차가 0.3mg이하일 때를 말한다.
24.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의 저장물질이 없는 누출검사대상시설 - 가압시험법에서 안정된 시험압력이라 함은 가압 후 유지시간동안의 입력강하가 시험압력의 몇 %이하인 것을 뜻하는가?
❶ 10% ② 15%
③ 20% ④ 25%
25.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의 자외선/가시선분광법에 따라 시료 중의 불소 함량을 측정하고자 한다. 검량선에서 얻어진 불소의 농도가 1.2mg/L일 때, 시료 중의 불소 농도(mg/kg)는? (단, 용액의 최종 부피 = 0.5L, 토양시료의 건조 중량 = 1.0g, 바탕시험용액의 불소 농도 = 0.2mg/L)
❶ 500 ② 600
③ 650 ④ 700
26.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 상의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지역의 시료 채취 및 보관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은?

❶ ㉠ 2.5cm, ㉡ ±15cm, ㉢ 30cm
② ㉠ 2.5cm, ㉡ ±30cm, ㉢ 60cm
③ ㉠ 5.0cm, ㉡ ±15cm, ㉢ 30cm
④ ㉠ 5.0cm, ㉡ ±30cm, ㉢ 60cm
27.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의 저장물질이 누출검사대상시설-기상부의 시험법에 따라 시험을 수행할 때,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험기간 동안 화기의 사용을 금한다.
② 기상변화가 심할 때는 시험을 실시하지 않는다.
❸ 미감압시험의 경우 30℃에서 저장물질의 정도가 450cSt이상일 때 적용한다.
④ 시험기간 동안 진동 등 압력변화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없도록 하며, 시험 중 항상 압력을 관찰하도록 한다.
28.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 총칙에 따른 밀폐용기의 정의는?
❶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내용물의 손실되지 아니하도록 보호하는 용기를 말한다.
②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기체 또는 미생물이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를 말한다.
③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내용물이 광화학적 변화를 일으키지 아니하도록 방지하는 용기를 말한다.
④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다른 가스가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를 말한다.
29.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머무를시간(retention time)에 관한 결정시험을 실시해야 할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컬럼교체 ② 가스교체
③ 기기의 고장수리 ❹ 시료주입부 청소
30. 토양정밀조사의 조사절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기초조사 ② 정밀조사
❸ 실태조사 ④ 개황조사
31. 토양환경보전법에 따라 오염영향지역의 부피가 13,050m3인 폐기물 매립지역에 대하여 개황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채취해야하는 표토시료의 개수(개)는?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으나,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① 8 ❷ 9
③ 10 ④ 11
32. 자외선/가시선분광법에서 사용하는 흡수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석영제는 주로 자외부 파장범위에서 사용된다.
② 유리제는 주로 근적외부 파장범위에서 사용된다.
③ 유리제는 주로 가시부 파장범위에서 사용된다.
❹ 플라스틱제는 근자외부 파장범위에서 사용된다.
33.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의 트리클로로에틸렌(TCE)-f퍼지-트랩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 시험기준은 테트라클로로에틸렌의 분석에 적용 할 수 있으며 정량한계는 0.1mg/kg이다.
② 토양 중의 트리클로로에틸렌을 메틸알코올로 추출하여 얻은 시료용액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프로 정량한다.
❸ 불꽃이온화검출기(FID)를 사용하여 유기할로겐화합물, 니트로화합물 및 유기 금속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한다.
④ 내부표준법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각 분석성분 및 내부표준물질의 봉우리 면적을 측정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피크면적과 내부표준물질의 봉우리 면적과의 비를 구한다.
34.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의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 따라 토양 중의 아연을 분석하고자 한다. 검량선에서 얻어진 아연의 농도가 2.5mg/L일 때, 토양 중의 아연 농도(mg/kg)는? (단, 시료용기의 부피 = 0.1L, 수분 보정한 토양의 무게 = 2.7g, 바탕시험용액의 아연농도 = 0.2mg/L)
① 45.2 ② 67.3
③ 78.7 ❹ 85.2
35.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의 이온크로마토그래피-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 따라 토양 중의 6가 크롬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때 사용하는 이온크로마토그래피-자외선/가시선 분광계의 구성 순서는?
① 액송펌프 → 용리액 저장조 → 시료주입부 → 분리컬럼 → PCR → UV/VIS 검출기 → 기록계
❷ 용리액 저장조 → 액송펌프 → 시료주입부 → 분리컬럼 → PCR → UV/VIS 검출기 → 기록계
③ 용리액 저장조 → 시료주입부 → 액송펌프 → 분리컬럼 → PCR → UV/VIS 검출기 → 기록계
④ 용리액 저장조 → 시료주입부 → 분리컬럼 → 액송펌프 → PCR → UV/VIS 검출기 → 기록계
36. 토양의 pH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pH 표준액 중 pH가 가장 중성에 가까운 것은?
❶ 인산염 표준액 ② 수산염 표준액
③ 탄산염 표준액 ④ 수산화칼슘 표준액
37.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의 비소-수소화물생성-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토양 중 비소의 정량한계는 0.10mg/kg이다.
❷ 비화수소를 원자화시켜 258nm에서 정량한다.
③ 불꽃을 만들기 위한 가연성가스로 아세틸렌을, 조연성 가스로 공기를 사용한다,
④ 좁은 선폭과 높은 휘도를 갖는 스펙트럼을 방사하는 비소속빈음극 램프를 광원으로 사용한다.
38.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일반지역의 토양 시료를 채취할 때, 채취지점을 선정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농경지 : 대상지역 내에서 지그재그 형으로 5~10개 지점 선정
② 벤젠 : 농경지 또는 기타지역의 구분에 관계없이 대상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1개 지점 선정
③ 유기인화합물 : 농경지 또는 기타지역의 구분에 관계없이 대상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1개 지점 선정
❹ 공장지역 : 대상지역의 중심이 되는 1개 지점과 주변 4방위의 3~5m 거리에 있는 1개 지점씩 총 5개 지점 선정
39.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의 퍼지-트랩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에 따라 토양시료 중의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및 BTEX 등의 물질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매는?
① 아세톤 ② 부틸알코올
❸ 메틸알코올 ④ 디클로로메탄
40.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의 저장물질 없는 누출검사대상시설-가압시험법에 따라 누출여부를 측정할 때, 오류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❶ 긴 시험압력 유지시간
② 최고 설정압력의 오류
③ 측정기간중 과도한 온도변화에 의한 내용물의 체적변화
④ 누출검사대상시설 이외의 연결관 및 연결부의 오류로 인한 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