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공부방/토양환경기사

[토양환경기사] 1. 토양학개론(기출2)

고퓨GO2theFUTURE 2025. 7. 9. 12:45

1. Langmuir 등온 흡착식의 기본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흡착은 가역적이다.

흡착지점들 사이에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③ 각 흡착지점은 단 한 개의 분자만을 수용한다.

④ 유한개의 흡착지점은 각각의 오염물질에 대해 동일한 친화력을 가진다.

2. 토양공기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토양공기 중의 N2농도는 대기 중의 농도와 비슷하다.

토양공기 중의 CO2, O2 농도는 대기 중의 농도보다 낮다.

③ 토양공기 중의 O2 농도는 토양의 깊이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④ 토양공기 중의 CO2 농도는 여름에는 높고 겨울에는 낮은 편이다.

3. 모래에 지하수를 장기간 중력 배수시켰을 때, 모래의 비산출률이 0.3이고, 모래의 공극률이 0.6이었다. 비보유율은?

① 0.02 0.3

③ 0.5 ④ 2.0

4. 토양 수분장력(pF)이 4.18일 때, 물기둥의 높이(cm)는?

① 13300 15136

③ 17300 ④ 19336

5. 토양오염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오염경로가 다양하지 않으며 타 매체와의 연관성이 낮다.

② 오염의 발생과 오염에 따른 문제발생 간에 시간차가 매우 적다.

③ 토양 내의 중금속은 토양입자에 흡착된 중금속의 탈착에 의해서만 수계로 유입된다.

수계에서 중금속의 대부분은 토양입자와 함께 침강하여 저니토(sediment)로 간다.

6. 중금속에 의한 토양오염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카드뮴은 식물에 흡수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② 인산비료를 사용하면 토양 중 비소의 이동성이 감소한다.

③ 토양 중에 비소가 존재하면 토양 중 인의 정량이 용이해진다.

토양 중 구리는 이동성이 낮기 때문에 점토질 토양의 아랫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7. 질소 또는 황 순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Azotobacter는 질소고정에 관여하는 미생물이다.

Nitrosomonas는 NO-2를 NO-3로 변화시키는데 관여하는 미생물이다.

③ Desulfovibrio는 황산염을 황화수소로 환원시키는데 관여하는 미생물이다.

④ 대기 중 기체상태의 N2는 토양미생물이나 화학적 공정을 통해 고정되어야 식물에 이용될 수 있다.

8. 토양 중의 질소가 공중질소로 전환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화학반응은?

① 산화작용 환원작용

③ 중화작용 ④ 염기화작용

9. 어떤 화산분출암 잔적토가 40%의 사질토, 60%의 점토로 구성되어 있고 점토 부분은 Halloysite와 Smectite로 이루어져있다. 잔적토 전체의 양이온교환능력(CEC)이 건조토양 100g당 40meq일 때, 잔적토 전체에서 각 점토 광물의 구성비는? (단, Halloysite의 CEC=15meq/건조토양 100g, Smectite의 CEC=90meq/건조토양 100g)

① Smectite: 33%, Halloysite: 66%

② Smectite: 66%, Halloysite: 33%

Smectite: 20%, Halloysite: 40%

④ Smectite: 40%, Halloysite: 20%

10. 토양 산성화에 의한 토양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토양용액의 Al3+ 농도 감소

② 토양용액의 PO3-4농도 증가

③ 토양용액의 HCO-3농도 증가

Mg2+, Ca2+등의 염기 용출 가속화

11. 대수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지하수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은 대수층을 자유면대수층이라 한다.

② 비피압대수층의 지하수를 자유면지하수 또는 천층수라고 한다.

③ 피압대수층의 지하수는 수온과 수질의 계절적 변화가 작다.

④ 피압대수층은 제1불투수층과 제2불투수층 사이에 위치하는 대수층을 말한다.

12. DNAPL(Dense non aqueous phase liquid)에 해당하지 않는 오염물질은?

① PCE ② TCE

③ 1,1,1-TCA BTEX

13. 토양의 염류화방지를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염류를 함유하지 않은 물을 관개수로 사용

지하수의 상향이동 촉진을 통한 토양표면의 염류량 희석

③ 지표면에서의 수분증발을 감소시키기 위한 피복

④ 아스팔트 피막이나 비닐 등의 불투수막을 이용한 하층부의 염류 상승 방지

14. 두께가 5m인 피압대수층에 시공된 양수정으로부터 Q=0.08m3/s의 유량으로 양수하고 있다. 양수정으로부터 10m, 20m 이격된 지점의 수위퍼텐셜이 각각 12m, 15m일 때 이 대수층의 투수량계수(m2/s)는? (단,Thiem 방정식을 이용, 자연로그 기준)

① 1.3×10-3 3.0×10-3

③ 6.0×10-2 ④ 3.0×10-2

15. 다음 표는 특정 깊이(15~27cm)에서 교환성 양이온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를 바탕으로 구한 토양의 수소 및 염기포화도(%)는?

 

수소포화도=38.1, 염기포화도=61.9

② 수소포화도=61.9, 염기포화도=38.1

③ 수소포화도=35.9, 염기포화도=64.1

④ 수소포화도=64.1, 염기포화도=35.9

16. 폐기물 매립방법 검토 시 고려해야 할 토양 특성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토성 ② 투수계수

양이온함량 ④ 양이온교환용량

17. 토양 내 비소의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 성분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칼슘 망감

③ 알루미늄 ④ 철

18. 다음 식은 무엇을 구하기 위한 것인가?

저류계수 ② 비저류계수

③ 비산출율 ④ 수리전도도

19. 다음 중 양이온교환능력(CEC)이 가장 큰 것은?

Vermiculite ② lllite

③ Kaolinite ④ Chlorite

20. 토양의 습윤단위중량이 1.8t/m3이고, 함수비가 25%일 때, 건조단위중량과 공극비는? (단, 토양 입자의 비중은 2.65, 공극의 부피는 42m3, 토양 고상(흙)의 부피는 50m3)

① 건조단위중량: 1.44t/m3, 공극비: 0.54

건조단위중량: 1.44t/m3, 공극비: 0.84

③ 건조단위중량: 2.12t/m3, 공극비: 0.25

④ 건조단위중량: 2.12t/m3, 공극비: 1.25

반응형